임팩트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내용만 알차게 담았어요. 안녕하세요, 님! 지난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임팩트 비즈니스를 알아가는 여정에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임팩트 비즈니스를 향해 걸어가볼까요? |
|
|
오늘의 임팩트서클 뉴스레터
1.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고객의 피드백을 통해 MVP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해보아요.
2. 생태계 홍보
- 임팩트스퀘어 X 상상플래닛, 2025년에는 상상플래닛에서도 만나요✌️
- 웨비나 안내: 기업 사회공헌 자금 유치, AI로 더 쉽게 준비하기(3월 6일 3시)
- [하나 파워 온] 2025 혁신기업 인턴십 참여기업 모집 중
|
|
|
메인코스 TRACK 3 임팩트 비즈니스의 모든 것 📖
MVP, 빠르게 만들고 더 빠르게 론칭해요! |
|
|
MVP는 고객의 피드백을 통해 학습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설계된 최소의, 하지만 핵심의 기능을 담은 초기 제품으로 빠르게 만들고 빠르게 론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메인코스 트랙 3, 5~6강의 내용으로 B2B 영역의 MVP 개발과 고객 피드백에 대해 집중적으로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5. MVP를 빠르게 만들고 더 빠르게 론칭하자 (B2B 영역) | 기업 사례: 어나더데이
MVP를 빠르게 만들고 빠르게 론칭한 어나더데이 사례를 전합니다. 어나더데이는 문화예술 콘텐츠를 키트 및 영상으로 개발하여 장애인 및 취약계층의 문화 접근성을 높이는 소셜벤처입니다.
|
|
|
어나더데이의 MVP 개발 과정에 주목해볼까요? |
|
|
(1) 아이디어 도출
- 코로나 시기, 기관 고객 분석을 통해 시각장애인 기관의 참여 부족을 발견
- 시각장애인 500명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참여 니즈 조사 → 미술 콘텐츠 필요성 확인
- 아이디어: 샤워 중 샴푸 향에서 착안 → 물감에 향을 섞어 색상을 구별하도록 개발
(2) MVP 테스트 및 피드백 반영 (무상 배포)
- 초기 협약기관을 통해 무상 배포 → 장애인·교사·복지사 설문조사 진행
- 60점(100점 기준) 이상의 만족도를 확보하면 보완 후 출시
(3) 5번의 개선 (피드백과 개선)
- 5번의 주요 개선 과정을 거쳐 제품 완성(개발 기간: 1년)
- 화학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가 자문 및 추가 연구 진행
어나더데이, 5번의 제품 개선, 개발 비용은 어떻게 충당했을까요?
정부 지원사업 활용하여 제품 개발 및 인증 비용 지원을 받고, 융자 등 추가 자금을 통해 MVP 테스트 과정에서 지속적인 실험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MVP 개발을 위한 안정적인 자금조달을 통해, 긴 개발 기간에도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완성도 높은 제품을 출시할 수 있었던거죠. 장기적으로 MVP 과정을 빠르면서도 인내있게 보내었기에, 최종적으로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얻는 성공 사례로 꼽힙니다. 인터뷰 강의 시청을 통해 어나더데이의 레슨런과 MVP 성공 요인을 더욱 생생히 들어보세요!
6. 고객 피드백을 활용해 유연하게 솔루션을 바꾸어 나가자
MVP의 핵심 목표는, 제품 출시 자체가 아닙니다. 고객 피드백을 통해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개선하는 것이 목표이자 목적입니다. (중요 또 중요~😉) 초기 MVP는 가장 저렴한 방법으로 고객 반응을 테스트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과정이랍니다. 따라서 제품은 고객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유연하게 수정해야 합니다.
이번 강의는MVP 성공 사례인, Embrace Global의 휴대용 인큐베이터 개발 과정을 통해 구체적으로 고객 피드백을 활용해 솔루션을 바꾸어 나가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
|
개발도상국에서 조산아(저체온증 위험이 높은 신생아) 치료를 위한 저비용 인큐베이터 개발했는데요, 이는 기존 인큐베이터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이동이 용이한 제품으로 약 47만 명 이상의 신생아를 살진 혁신적인 비영리 스타트업 사례입니다.
마네킹 → 건강한 신생아 → 저체중 출생아 → 조산아 순으로 점진적으로 실험하며 MVP를 테스트 했습니다. 기존 제품은 끓인 물을 이용한 보온 방식을 채택했지만 사용이 불편하다는 고객 피드백을 반영해 전기 가열 방식을 추가하는 등, 시장 진입 후에도 계속해서 피드백을 수용하며 최적의 제품을 찾아갑니다.
또한 글로벌 시장으로 바로 진출하기 보다는 신생아 사망률이 높고 인큐베이터가 부족한 인도 시장, 그중에서도 사립 병원을 집중해 공략해 의사결정에 속도를 붙였습니다. 영리하게 시장에 접근한 듯 보여도 시장에서 영업 실패를 경험하는데요. 이때 고객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영업 전략을 전환합니다.
Embrace Global 의 시장 전략 조정 과정 📢주목! 아주 인상적이랍니다!!
- 현지 제약사나 의료기기 유통사를 통한 위탁 판매 (위탁사가 제품 설명을 잘 못해 고객들이 제품 이해도가 떨어짐🤦♀️) →
- 자체 영업팀을 구성해 직접 병원을 방문해 제품에 대해 교육
- 초기 고객(의사, 간호사)과 지속적 접촉:
후속 방문 일정 예약 → 지속적인 피드백 수집 만족도가 높은 고객에게 추천서 요청 → 병원 간 네트워크 활용 →
- 개인 병원의 추천서가 공립 병원 및 보건부에 전달 → 공공 시장 확장 →
- 국가 단위로 제품 보급
Embrace 사례는 스타트업이 MVP를 통해 시장을 학습하고, 고객 피드백을 활용해 제품과 전략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모범 사례입니다.
MVP 성공의 핵심은요... 고객의 문제를 깊이 이해하고 최적화된 해결책을 지속적으로 찾아가는 과정입니다. 정말 지난한 과정일 겁니다. 그럴 수록 지치지 않고 나아가기 위해선 내면의 힘이 필요하지요! 내면의 힘, 임팩트서클 강의로 쌓아보시면 어떨까요? 어나더데이, Embrace Global 로부터 영감을 생생하게 얻어보세요. |
|
|
학습 포인트 그냥 지나치지 말고, 실전에 적용해보아요 😉
린 스타트업이야말로 MVP 를 위한 최적의 프레임워크죠! |
|
|
📌 MVP는 "학습"을 위한 도구이며, 핵심은 빠른 실험과 피드백 반영입니다.
1️⃣ Build (제작)
- 핵심 기능만 포함된 MVP 개발
- 가설을 검증할 수 있는 실험 설계
2️⃣ Measure (측정)
- 핵심 성과 지표(KPI) 설정 (예: 고객 반응, 리텐션, 전환율)
- 고객 피드백 및 데이터 수집
3️⃣ Learn (학습 및 개선)
- 가설 검증 → 피드백 반영 → 개선
- 필요하면 피봇 진행
💡 활용 방법: MVP를 출시한 후, 이 사이클을 반복하며 제품을 발전시킵니다.
|
|
|
잠깐, 혹시 MVP 테스트를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 하다면, 아래 질문에 하나씩 답변을 적어보세요. 그러면 님이 고객의 어떤 문제를 진짜로 해결하고 싶은지 알게 될 거에요.
✅MVP 테스트를 위한 실험 설계 가이드
-
가설 (What do you want to learn?)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 싶은가? 💬고객이 어떤 행동을 할 것이라고 가정하는가?
-
MVP 실험 방법 (How will you test it?)
💬제품을 어떻게 고객에게 노출할 것인가? 💬실험 방식(랜딩 페이지, 시제품 테스트, 페이크 도어 등)
-
측정 지표 (How will you measure success?)
💬핵심 KPI는 무엇인가? (예: 클릭률, 구매율, 사용자 피드백)
-
결과 분석 (What did you learn?)
💬가설이 맞았는가? 💬피드백을 기반으로 개선할 점은?
-
다음 단계 결정 (What’s next?)
💬현재 방향을 유지할 것인가? 💬기능을 추가/수정할 것인가? 💬피봇(Pivot)할 것인가?
|
|
|
읽을거리 임팩트서클과 함께 읽어요. 🤓
힘든 시대를 보내는 대표님, 더 나은 해결책을 위해 이 책 읽어보세요!
임팩트 비즈니스 전문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임팩트서클 팀에서 여러 읽을거리나 영상, 행사 등을 찾아, 보고 듣고 읽으며 배우고 있어요. 저희만 보기엔 아까울 정도로 좋은 콘텐츠, 독자분들과 함께 나누고 싶어요. |
|
|
- WHY PICK? 일본으로 진출을 고려하고 계신가요? 혹은 이미 일본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다면 Japan Insight 뉴스레터를 구독해보세요. 일본 스타트업 시장에 대한 폭 넓은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뉴스레터입니다. 단순히 일본의 시장에 대해서만 이야기하기보단, 한국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저자의 인사이트를 엿볼 수 있습니다.
- WHY PICK? (인류 역사상, 힘든 시대가 아니었던 적도 없는 것 같지만) 지금 2025년, 이보다 더 힘든 시대도 어디 없는 기분이에요. 최근 USAID 폐지 예고며 DEI(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정책 예산 삭감이며 여러모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2019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저자는 이민, 세계화, 자동화와 실업, 경제 성장, 환경, 정부의 역할 등의 오늘날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 다루며 더 나은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
|
|
NEW 임팩트서클의 새로운 소식! 🆕
임팩트스퀘어가 상상플래닛과 함께 합니다 🙌 |
|
|
임팩트스퀘어가 2025년부터 성수동 소재의 KT&G상상플래닛의 운영사로 선정되어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했습니다. 이에 따라 예비 창업가부터 성수동을 기반으로 사업을 확장하고자 하는 초기 기업까지, 상상플래닛에 입주할 기업 모집을 시작합니다.
입주 기업을 위한 혜택 ‘든든’
- 지정석 20만 원, 독립실 좌석당 25만 원부터~
- 상상플래닛 공간 대관 시 50% 할인 혜택 제공
- 샤워실 🚿 수면실💤 마련
- 임팩트스퀘어의 밀착 관리 가능😉
- 오피스아워, 성장지원 프로그램 다수 운영, KT&G 협업 기회도!
- 다양한 사회혁신 스타트업과 교류는 덤💖
|
|
|
웨비나: 기업 사회공헌 자금 유치, AI로 더 쉽게 준비하기(3/6, 3pm)
마이오렌지에서 소셜벤처, 사회적기업 등 소셜임팩트 조직이 기업 사회공헌 자금을 유치하고 임팩트를 증명하는 데 필요한 핵심 팁과 도구에 대한 웨비나를 열어요!
-
일시: 3월 6일(목) 오후 3시, Zoom
- 대상
- 소셜벤처, 사회적기업 등 소셜임팩트 분야 조직
- 기업 사회공헌 자금 유치와 임팩트 측정에 관심 있는 실무자 및 리더
- 세션 구성
|
|
|
[하나 파워 온] 2025 혁신기업 인턴십 참여기업 모집 (~3/13)
신청대상
- 사회문제를 해결하며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조직 중 정규직 일자리 창출의 의지가 있는 기업
- (인증/예비)사회적기업, (사회적)협동조합, 소셜벤처, 마을기업, 자활기업, 사회적경제조직 육성 지원 기관 등 최대 230개소
신청방법
- 공고문 및 운영매뉴얼 확인 후 온라인 신청 접수 ▶ 신청하기
참여 기업 지원내용
- 인턴십 1인 인건비 월 최대 220만원(세전 / 주 40시간 근무 기준) 3개월 지원
- 인턴십 유형 : 만 18~54세 장애인, 만 18~54세 경력보유여성, 만 18~39세 청년, 만 50~69세 뉴시니어(25년 신규 추가)
- 정규직 전환시 월 최대 220만원 (세전 / 주 40시간 근무 기준) 2개월분 추가 지원
- 하나금융그룹 사회혁신기업 지원 프로그램 우선참여(캠페인 지원 등)
- HR 분야 역량 강화 교육 제공 (월 1회)
|
|
|
임팩트 비즈니스 콘텐츠 플랫폼, 임팩트서클info@impactcircle.co.kr서울특별시 성동구 서울숲길 53 070-4256-0916수신거부 Unsubscribe |
|
|
|
|